본문 바로가기

돈벌기

애자일 컨설팅(메이커스의 사고 워크샵) 김창준, 송호준, 박동희


인사이트 강연


애자일 컨설팅 (메이커의 사고 워크샵)


김창준 송호준 박동희 



메이커에게 필요한 자세

1.감지와 관찰

2.실험

3.욕구

4.해겨로가정 공부

5.원리이해

6.정보를 찾을수있다는 믿음

7.피플스킬

8.가지고 있는거 주변의 걸 먼저 이야기 하기

9.친절한 공유



수학자와 일반 사람의 수학공부 접근차이


수학자 : 답이 없는 문제라도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서 찾아간다

일반인 : 답이 있는 문제를 찾아 한가지 방법을 통해 찾는다




메이커란?
유명하거나 전문적으로 만든 것 뿐만아니라 할머니가 자수를 만드는 것도 메이커
즉, 자세나 생각을 바꾸면 무엇이든 만들 수 있다.

메이커 문화
->메이커 페어(페스티벌)

 
Affordable Loss 감내할 수 있는 한계(상한 설정)
어떤 문제에서 자기가 투자 할 수 있는 한계

전환점이 필요하다. 왜 그렇게 만들었나, 과정은, 왜, 
분석 - 가설 - 검증


성공한 기업가 생각 - 얼마 잃어도 되지?
경영학 교수, 학생 생각 - 얼마 벌 수 있지?
태도에 따른 탐색범위가 다르고 성공 확률을 더 찾을 수 있다. 두 경우의 성공확률은 비슷하지만 망하는 비율은 후자가 높다. 랜덤한 시장에서는 대박보다 오래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밑져야 본전이라는 심리가 중요) 
전자는 경쟁사를 분석하지 않는다. 그 시간에 본인걸 발전시킨다.

 문제 분석 
ex)공동 냉장고 내용 공유(최소비용을 먼저 선택한다. 고수는 필요한 것을 구해서 해결하는게 아니라 가지고 있는 걸로 해결)
-동료와 대화하고 같은 의견 찾기
-구글 검색

물건에 색깔 스티커 규칙만들기 ->책임소재, 파악, 기한찾기
 -문제 : 색깔 갯수 스티커 한계, 귀찮음
 -다른해결 방법: 냉장고 구역만들기, 유통기한 스티커, 스톱워치, 바코드로 확인


1)감지와 관찰 2)실험 (내 기대와 다를 때 원인을 찾는다. 조사, 탐구)

불편과 문제를 확인하고 학습에 도움이 되며 해결방법이 좋은 결과를 만든다.

->유치할 수도 있지만 작은 실천을 시작하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고민과 작은 실천의 조화


3)욕구

ex)프로그래머

->나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자신이 진짜 불필요한 걸 계속 찾아라


4)해결과정 공부

자신이 찾을 수 있는 모든걸 찾아본다. 인터넷, 책 -> 그래야 전문가에게 물어봐도 답을 얻을 수 있다.


5)원리 이해 

아무리 간단한 원리도 그 원리를 받쳐주는 핵심원리가 있다. 끝까지 파보면 다른게 더 생긴다. 양자역학 전까지 공부하라 라는 말까지.


7)피플스킬(사람들과의 관계나 정보 공유)

그들의 규칙, 언어, 존중, 공감이 필요하다. 설득하겠다면 실제 시나리오로 해보면 자신이 진짜 알 수 있다. 원하는 답이 있다면 많이 공부하고 그들에게 심문할 수 있을 정도는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어떤 기술이 3가지 원리라고 추측된다면 전문가에게 "a원리인가요?"라고 심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전문가도 알려주고 싶고 비밀이라면 yes or no를 통해서 답을 알려주기 심리적으로 편하다.(나치 심문)



성공하는 창업가 - 갖고 있는 것들(자산, 지식, 인맥 ...)을 생각하고 목표를 설정한다.

일반인 -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이루기 위한 조건들을 찾는다.


9)친절한 공유

오픈소스를 그냥 공유한다면 진정한 공유가 아니다. 왜 올렸는지지, 원리가 무엇인지,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자세하고 명확하게 해야 사람들도 공감하고 피드백하며 진정한 공유가 실행된다. 그리고 공유되는 것을 무서워 하지 말자. 본인의 아이디어가 빼낄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실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두려워 하자. 머리 속에만 있는건 가치가 없다. 밖으로 공유하고 생각을 비교하고 피드백 받고 정제된 아이디어만이 진정한 가치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공유를 두려워 하지 마라고 한다.